경제학을 공부하려면 이항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중학교 1학년 수학을 포기했거나 기억이 안나는 수포자분들은 이 개념을 정확히 모를 수도 있어요.
그런 분들을 위해, 이번 포스팅에는 이항하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목차
1. 테스트
2. 오늘 배울 개념
3. 개념 설명
4. 정리
1. 테스트
문제를 통해 이항을 할 수 있는지 테스트해 볼까요?
🙆 답을 정확히 아는 분들은 시간 아까우니 당장 이 페이지를 나가서 다른 공부를 하시고,
🙅 답을 모르는 분들, 헷갈리는 분들만 이 글을 정독해 주세요.
✍️ 문제
①~④ 중 네모 안의 식과 같은 식은?
답을 확실하게 말할 수 없는 분들만 이 글을 읽어주세요.
2. 오늘 배울 개념
저와 함께 이항에 관해 공부하면, 위 문제를 정확하게 풀 수 있어요.
오늘 배울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 변, 이항 뜻, 이항하는 법, 이항하면 부호가 바뀌는 이유
3. 개념 설명
이항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항과 변이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해요.
먼저 항의 뜻부터 알아볼까요?
💡 항이란, 숫자와 문자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을 말해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식이 있다고 해볼게요.
여기서 항은 아래와 같이 세 개 있어요.
항은 숫자와 문자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을 말하니까, 덧셈이나 뺄셈 기호를 기준으로 나눠줬어요.
위 식을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5x에는 사실 곱하기 기호(✖️)가 생략되어 있어요. 따라서 5x는 숫자(5)와 문자(x)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이니까 하나의 항이 됩니다.
+4y에도 곱하기 기호(✖️)가 생략되어있어요. 따라서 +4y는 숫자(+4)와 문자(y)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이니까 하나의 항이 됩니다.
이제 +3만 남았죠? +3은 숫자로만 이루어진 식이니까 하나의 항이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부호까지 포함해서 항이라고 써준다는 것을 알아두세요.
이제 변의 뜻을 알아볼게요.
💡 변이란,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부호의 양 편에 있는 식을 말해요.
더 쉽게, 그림으로 표현해 볼게요.
등식의 왼편, 오른편에 있는 식 전체를 각각 변이라고 해요.
부등식도 마찬가지로, 왼편, 오른편에 있는 식 전체를 각각 변이라고 해요.
즉,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양 편에 있는 식을 변이라고 하는 것이죠.
위와 같이, 등식 또는 부등식의 왼 편에 있는 변은 좌변,
등식 또는 부등식의 오른편에 있는 변은 우변이라고 해요.
여기까지 항과 변에 대해 알아봤어요.
그다음으로, 이항의 뜻을 알아볼까요?
💡 이항이란, 등식 또는 부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을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을 말해요.
그림으로 더 쉽게 알아볼게요.
이렇게 두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등식 또는 부등식이 있다고 하면, 이항이란 아래와 같이 항을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볼게요. 아래와 같은 식을 가져와 봤어요.
여기서 좌변에 있는 +4를 우변으로 옮기는 것을 이항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항이 무엇인지 아시겠나요?
이제 이항하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이항 할 때, 숫자와 문자는 그대로 두고, 부호만 아래와 같이 바꿔주면 돼요.
좌변에서 우변으로 이항할 때, +4에서 -4로 부호만 바뀌었어요.
다른 예시를 통해 알아볼게요.
이번엔 우변에 있는 3x를 좌변으로 이항해봤어요.
3x는 그대로 두고, 부호만 바꿔서 이동한 모습을 볼 수 있죠?
그런데, 이항하면 부호가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등식에서 좌변과 우변에 같은 식을 더하거나 빼도, 등식이 그대로 성립하기 때문이에요.
그림으로 알아볼게요.
등식의 양 변에 3x를 빼줬어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우변은 0이 되고, 우변에 있던 3x는 좌변으로 부호만 바꿔서 이동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 더 빠르게 계산하기 위해, 부호를 바꿔주면 된다고 하는 것이죠.
이제 문제를 다시 풀어볼까요?
✍️ 문제
①~④ 중 네모 안의 식과 같은 식은?
✔︎ 정답 ②
항은 y, -3x, -4 세 개죠?
여기서 -3x와 -4x를 우변으로 이항시켜 y만 좌변에 남기면 돼요.
먼저 -3x부터 옮겨볼게요.
좌변에서 우변으로 이항하면서, 부호를 -에서 +로 바꿔줬어요.
그다음, -4를 옮겨볼게요.
좌변에서 우변으로 이항하면서, 부호를 -에서 +로 바꿔줬어요.
따라서 y = 3x + 4 인 2번이 정답인 것이죠.
이항 역시, 충분한 연습이 필요해요. 연습문제를 금방 만들어서 가져올게요.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4. 정리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볼까요?
💡항 - 숫자와 문자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
💡변 -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부호의 양 편에 있는 식
💡이항 - 등식 또는 부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을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
💡이항하는 법 - 항의 부호를 바꿔서 다른 변으로 옮기기
💡이항하면 부호가 바뀌는 이유 - 좌변과 우변에 같은 식을 더하거나 빼도 등식이 성립하기 때문
오늘은 이항에 대해 알아봤어요.
이제 이항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시겠나요?
경제학, 기초 수학을 공부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칠게요.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 앞으로도 수포자분들이 경제까지 포기하지 않도록, 경제학에 필요한 수학만 쏙쏙 골라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초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수 뜻, 역수 구하기, 역수 관계란 (1) | 2025.01.20 |
---|---|
X를 Y에 관한 식으로 정리한다? Y를 X에 관한 식으로 정리한다? 뜻, 식 정리 방법 (0) | 2025.01.20 |
기초수학 연습문제 PDF파일 무료 제공 (0) | 2025.01.19 |
약수, 공약수 뜻, 구하기 (0) | 2025.01.16 |
약분 뜻, 분수 약분하는 법 (0) | 2025.01.16 |